태양광 관련주 5가지, 미국 바이든의 대중 관세 정책

넷제로, 탄소중립 아마 많이들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넷제로는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을 같게 만들어서, 현재 상태를 유지하자는 것을 의미하고, 탄소중립은 탄소배출을 0로 만들자는 정책입니다. 조금 다른 개념이긴 하지만, 어찌됐건 온실가스로 인해 지구 온도가 1.5도 이상 상승했으니, 이제부터 신경을 한번 써보자는 이야기입니다.

 

지난번에 정리해 둔 전력 관련주들과 같이 보면 금상첨화겠죠.

 

태양광 관련주, 미국 바이든의 대중 관세 정책

 

태양광 관련주를 살펴보게 된 이유는 미국 바이든의 대중 관세 정책 때문입니다. 5월 14일, 미국은 중국산 물건들에 대한 관세를 대폭 올렸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이 뉴스에 산업별로 잘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 전기차 : 25%에서 100%로 올렸습니다.
  • 반도체 및 태양전지 : 25%에서 50%로 올렸네요.

 

중국에서 저가 전기차를 자꾸 내 놓으니, 4배 관세가 오른 것이 가장 파격적이긴 합니다. 하지만 이번 글의 주제는 태양광인 만큼, 태양전지의 관세가 25%에서 50%로 오른 것에 포커스를 맞춰보겠습니다.

 

미국에서 저가 중국산에 대한 대응책으로 자주 사용하는 것이 관세입니다. 태양전지 관세가 25%에서 50%로 올랐는데, 쉽게 말해서 100만 원 짜리 태양전지가 125만 원에 들어오던 것이, 150만 원으로 오르게 된 것입니다. 이렇게 값이 오른 채로 미국에 들어오면, 당연히 미국 내 업계에서는 값이 비싸니 ‘다른 데’서 살 수 없는지 알아보게 됩니다.

 

그리고 ‘다른 데’가 우리나라 일수도 있겠다는 기대감으로 한국 태양광 관련주들은 오르게 됩니다. 반사 이익이죠. ‘중국이 견제를 당하니 반사적으로 한국산을 사용하려고 하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입니다. 그렇게 오르게 된 태양전지 관련주들을 아래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뭘 파는지, 여태까지 잘 팔아왔는지, 현금 흐름은 어떤지 등등.

 

태양광 관련주

태양광 관련주 5가지

 

아래 내용은 다트 전자공시 1분기 보고서를 기반으로 작성된 내용입니다. 괄호 안에 들어간 시가 총액은 24년 6월 9일 기준입니다.

 

  • HD현대에너지솔루션 (3254억)
  1. 태양광 모듈 매출이 82.5%, 제어시스템 13.9% 비중입니다.
  2. 충북 음성공장에서 셀, 모듈을 직접 생산 중입니다.
  3. 생산실적, 생산능력, 가동률은 아래와 같습니다.
    • 셀 : 5,426,520 / 10,326,000, 장 기준이고 52.6%입니다.
    • 모듈 : 354,826 / 455,950, 장 기준이고 77.8%입니다.
  4. 생산 설비는 1곳이 보입니다.
    • 본사는 경기도 성남이고, 충북 음성에 공장이 있네요.

 

  • 대명에너지 (2851억)
  1. 태양광, 풍력 관련 EPC 회사입니다.
  2. 공사 매출 비중 36%, 발전 매출 비중 57.14%입니다.
    • 발전 쪽은 SMP 값, REC를 고려한 20년 단위의 계약애 따라 달라집니다.
    • SMP : 한국전력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시간 당 전기 단가입니다.
    • REC : Renewable 에너지로 전기를 공급했다는 일종의 인증서로, 주식처럼 사고 팔 수 있습니다.
    • 기자재 : 풍력발전기 from 지멘스, 태양광 모듈은 미기재입니다.
    • 발전 사업을 통해서 매출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 인상적. 
  3. 주요 매출처는 한국전력거래소, 한국남동발전, 김천풍력발전, 한국지붕태양광(20.36%) 등 입니다.

 

  • SDN (907억)
  1. 태양광 사업부 매출이 772억으로 약 73%입니다.
    • 발전 시스템 : 태양광 발전소 턴키 및 시스템을 공급하고 비중은 37.27%네요.
    • 태양전지판 외 : 태양광 전지판과 인버터 비중은 18.08% 이구요.
    • 전력매출 : 전력거래소 관련 내용이 적혀 있어서, SMP + REC 일 것으로 추론해 봅니다. 비중은 14.48%입니다.
  2. 엔진조선사업부 매출 비중은 약 27%입니다.

 

  • 한화솔루션 (5조 536억)
  1. Renewable 에너지 매출 비중이 43.97% 입니다. 화학물질 및 제품 41.76%, 플라스틱 제품 중 태양광 소재도 만듭니다. 9,58% 비중입니다.
  2. 한화솔루션 큐셀에서 만들고 있는 태양광 셀은 162원/W, 모듈은 318원/W 입니다.
  3. 매출은 1조 3670억으로 제품과 상품 비중 비슷합니다.
  4. 생산 능력 2525톤 중 1분기 216톤 생산했습니다.
  5. 가동률 58%입니다. 가동가능시간 1099시간 중 639시간 가동했네요.
  6. 충북 진천에서 태양광 셀, 모듈 생산하고, 충북 음성에서 태양광 모듈 생산, 충남 천안에서 태양전지 잉곳 생산중입니다.

잉곳은 태양광 웨이퍼 생산을 위한 소재입니다. 셀 모듈을 직접 생산하고 있어서,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추론해 봅니다. 

 

  • 유니테스트 (3160억)
  1. 태양광 매출 비중 59.59%입니다. 나머지는 반도체 검사 장비네요.
  2. 태양광 설비 건설 공사로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3. 447억 규모 ESS 설치 공사를 수주한 이력이 있습니다. 기간은 2023-01-02 ~ 2024-05-12입니다.

 

 

태양광 관련주, 어떤 걸 사야 할까

 

일단 셀과 모듈을 생산하고 있고, 가동률이 다트 전자공시 상에 기재되어 있는 HD현대에너지솔루션과 한화솔루션이 눈에 들어옵니다. 특히 한화솔루션은 자회사가 태양광 소재까지 만들고 있어서, 조금 더 사업을 제대로 하고 있는 것이라 판단됩니다. 물론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태양광 관련 매출 비중이 80% 이상이어서, 이 사업에 진심이라는 것도 느껴지네요.

 

셀과 모듈을 생산하고 있지는 않지만, 태양광 전기를 전력거래소에 다시 팔아서 매출을 올리고 있는 대명에너지와 SDN도 눈에 띕니다. 대명에너지가 현재 몸집은 더 큰 것으로 보이는데, 오히려 매출과 시총이 비슷한 SDN 조금 더 매력적으로 느껴집니다.

 

유니테스트는 태양광 사업을 하고 있고 매출 비중도 50%가까이 되지만, 반도체 테스터로서 조금 더 영향력이 있을 것으로 보이네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