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리튬 관련주 정리 전망

2차전지 리튬 관련주를 시원하게 정리해보고, 향후 주가가 어떻게 움직일지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테슬라 4680 배터리 글에서 2차 전지에서 양극재가 금액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40%에 달한다는 점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양극재 원가 중 리튬은 40%를 해당합니다.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양극재 내에서 달하는 수치가 꽤 높은 편이죠. 이쯤 되면, 왜 양극재 회사들이 다른 2차 전지 업체보다 많이 뜨고, 그 중에서도 리튬 관련 업체들이 초 급등을 했는지 알 수 있게 됩니다.

 

2차전지 리튬 관련주

 

  • 포스코홀딩스
  • 에코프로이노베이션(비상장사이므로 공급을 받는 에코프로비엠과 지주사 에코프로를 분석)
  • 하이드로리튬
  • 리튬포어스
  • 지오릿에너지

 

5가지 회사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5가지 모두 2023년 초 최소 3배, 많게는 10배 이상 올랐던 회사들입니다. 1000원 대 였던 하이드로리튬은 6만원 을 찍은 적이 있었죠. 글에 들어가기에 앞서서, 아래 기본적인 내용 정리해두고 갑니다.

 

  • 수산화리튬 – NCM/NCA 삼원계 양극재 입니다.
  • 탄산리튬 – LFP 양극재 입니다.

 

2차전지 리튬 관련주 정리

 

  • 포스코홀딩스
  1. 아르헨티나 살타주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
    • 여의도를 30개 겹쳐 놓은 수준의 면적이라고 하고, 1년에 1350만톤 탄산리튬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염수리튬 상용화 공장 (2022-01 ~ 2025-06) 건설중입니다.
      • 아래 1,2단계 합해서 2조 6273억, 2단계 하공정은 5751억이 들었다고 합니다.
      • 1단계 : 1년에 수산화리튬 25000톤, 2024년 상반기 준공 예상입니다.
      • 2단계 : 1년에 탄산리튬 23000톤, 2025년 하반기 6월 경 준공 계획입니다.
      • 2단계 하공정 : 1년에 수산화리튬 25000톤, 2025년 하반기 6월 경 준공 계획입니다.
  2. 호주 빌파라 광산
    • 2021년 포스코홀딩스가 포스코리튬솔루션 출범했습니다.
    • 2022년 호주 광산업체 필바라(지분 최대 30%)와 Joint Venture로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으로 사명을 변경했습니다.
    • 전남 광양 율촌산업단지, 광석리튬 사용화 공장(2021-04 ~ 2025-06)은 1조 977억 수준의 돈이 투입됩니다.
      • 1년에 수산화리튬 43000톤 생산 예정입니다.

 

  • 에코프로 / 에코프로비엠

자회사 에코프로이노베이션(비상장사)에서 리튬을 정제해서 에코프로비엠에 공급한다합니다.

  1. 호주 ‘아이오니어’와 탄산리튬 공급 계약 체결했습니다.
    • 아이오니어는 미국에서 ‘리오라이트 리지’ 광산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남아공 광산회사 ‘시바니 스틸워터’와 50%씩 지분을 나눠 갖습니다.
    • 2026년부터 리튬 생산 목표입니다.
    • 1년에 탄산리튬 26000톤을 계획중이고, 에코프로이노베이션과 1년에 7000톤 계약했습니다.

 

2차전지 리튬 관련주

2차전지 관련주 정리 중 지오릿에너지를 가장 관심 있게 보고 있습니다.

  • 지오릿에너지
  1. 이스라엘 엑스트라릿 지분투자(2023년 4월, 196억 29.88% 지분) 했습니다.
    • 리튬 DLE(직접추출법) 기술 확보(리튬 농도가 낮은 염호에 적용 예정) 했습니다.
    • Pilot Plant 건설 : 엑스트라릿과 JV 설립하였고, 2024년 하반기 예정입니다. 시추업체 할리버튼 자회사도 동참하고 있습니다.
    • 전자공시 상 2024년까지는 리튬 관련 매출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입장 표명했습니다.
  2. 미국 캘리포니아 Imperial County 4구역 솔턴 호수(지열수) 계약했습니다.
    • 리튬추출개발권 Lease 계약(2023년 12월 완료, 약 40만평) 했습니다.
    • 버크셔 해서웨이도 이 지역에서 파일럿 플랫트 설치 및 시험 생산 중입니다.
    • DLE 기술 활용 예정입니다.
  3. 미국 유타주 리튬 염수자원 개발권도 있습니다.
    • 그레이트솔트호가 그 이름입니다.
    • 2024년 상반기 확보 예정입니다.
    • DLE 기술 활용 예정입니다.
  4. 리튬 폐수시장 진출했습니다.
    • 배터리 소재 제조업체의 리튬 폐수를 활용하여 리튬을 추출할 계획입니다.

 

  • 하이드로리튬

221013, 리튬플러스에 인수(코리아에스이에서 하이드로리튬으로 사명변경)되었고, 대표이사 전웅의 수산화리튬 관련 제조 특허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신기술, 신제품 인증을 받았습니다.

 

매출의 대부분이 교량시공, 기타시공이었던 코리아에스이를 왜 인수한걸까? 

 

리튬사업을 위해 새만금 산단에 약 1만m2의 땅을 150억원에 사서, 토목공사 진행 중입니다. 하이드로리튬은 리튬플러스 리튬사업을 위한 공사 업체가 아닐까 싶습니다. 일단 산단에 우리 힘으로 공사를 해보자라는 의미로 이해가 됩니다. 리튬플러스가 비상장사여서, 자회사인 하이드로리튬의 주가가 올랐던 것으로 추정해 봅니다.

아래 내용은 모두 모회사 리튬 플러스의 내용입니다.

  1. 충남 금산 공장 준공 (2022년 12월 양산) 완료했습니다.
    • 1년에 수산화리튬 3600톤 생산 예정입니다.
  2. 볼리비아 염호개발 1단계 심사 통과 (240314) 했습니다.
  3. 튀르키예 코윤주 그룹과 리튬 추출 사업 MOU 체결했습니다.

 

  • 리튬포어스

전웅의 또다른 회사, 최근 공동 대표였던 변재석을 해임하였습니다. 사실상 이제는 전웅 대표 혼자서 이끄는 회사입니다.

  1. 새만금 산단1공구 6.1만m2 땅이 있습니다.
    • 2023년 7월 착공식, 2026년 하반기 완공 예정입니다.
    • 탄산리튬 제조 공장을 세울 예정입니다.

 

2차전지 리튬 관련주 전망

 

2022년 말, 2023년 초 리튬 값은 정점을 찍었었습니다. 리튬 선물 중국 위완화 기준 톤당 60만 가까이 갔었습니다. 현재는 10만 수준입니다. 지금보다 6배 가까이 올랐었던 것이죠. 당연히 2차전지 리튬 관련주도 덩달아 올랐었습니다.

 

자세하게 정리해보고 나니, 하이드로리튬은 공사 업체이고, 리튬포어스는 경영권 분쟁도 있고 다소 불안해 보이는 느낌입니다. 대표이사 전웅이 수산화리튬 제조 특허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가가 올랐던 것 같네요. 주가는 기대감에 오르지만, 현금 흐름이 받쳐줘야 탄탄하게 오릅니다.

 

가장 앞서나가는 2024년 공장이 완성되는 포스코홀딩스라고 보여집니다. 2026년 리튬 생산 목표인 에코프로 계열사도 당분간 주가가 움직일 수 있을지 미지수입니다.

 

주목해서 보고 싶은 회사는 지오릿에너지입니다. 버크셔 해서웨이에서도 리튬 관련 사업을 진행 중인 미국의 솔턴 호수 부근. DLE 기술을 보유한 엑스트라릿이 지오릿에너지와 함께 참여한다고 하니, 조금 더 믿음이 갑니다. 전자공시 내에 2024년에 리튬 관련 매출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솔직하게 표현해 놓은 것에 오히려 더 신뢰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폐수시장 진출에 들어간 것도 긍정적이네요.

Leave a Comment